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
2005년 3월 제정을 목표로 전세계 14개 국가가 ISO 산하 기술분과위원회 (Working Group 8)에 참여하여 국제적으로 인지된 식품안전에 대한 경영시스템을 작업 중에 있다. 기술분과위원회에는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 GFSI(Global food safety initiative: 국제식품안전협회), CIAA (European food industry organization : 유럽식품산업협회) 등의 조직이 참여하고 있다. 규격의 적용범위는 사료 및 식품공급사슬 전체가 포함될 예정이며 식품안전경영 시스템(ISO22000)은 심사규격으로서 ISO 9001:2000 과 HACCP시스템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기대효과
-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성 의식확대 및 요구증가
- 국/내외 식품 안전규정 및 법규강화
- 국제 무역장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
- 식품안전사고의 사전예방 및 비상사태에 대한 대응
- 식품 관련 다양한프로그램(HACCP, BRC, EUREPGAP, GMP)에 대한 통합의 필요성 대두
- 통합화한 ISO 22000 인증을 통한 비용 및 행정적 낭비요소의 감소
- 국가 및 기업의 식품산업 경쟁력확보
- 품질/환경/안전보건시스템 규격과의 병행 및 통합필요
- 식품관련 공급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 위생관리 시스템 효율성 극대화
- 식품 관련 법률준수
- 공급체인과의 의사소통 원할
- 종업원의 책임의 식향상
- 회사이미지 제고와 신뢰성향상(고객만족도향상)
ISO 인증절차
- O1인증문의
- 신청, 설문서를 작성하여 보내주시면, 심사일수 및 인증비용 견적서 발송해드립니다
- O2 인증계약
- 제공된 제안/견적에 동의하시면 인증계약서를 날인하신 후 FAX 또는 Email로 인증계약서를 접수해주시면 됩니다
- O3 심사계획 통보
- 인증신청이 완료되면, 심사팀장으로 부터 심사 방문전 심사계획을 통보 받으시게 됩니다.
- O4 예비심사
- 예비심사는(1,2단계)심사전에 신청기업에서 희망하는 경우 실시됩니다
- O5 심사(1,2단계)
- 1단계: 문서심사(부적합 발견시 시정조치 완료필수) / 2단계: 현장심사
- O6 인증등록 심의
- 인증심사가 종료되면 인증심의위원회에서 인증등록 심의를 하게됩니다
- O7 인증서 발행
- 인증등록을 위한 심의가 완료되면, 인증서가 발행됩니다
- O8 사후관리 심사
- 인증승인 후 년 1회이상 사후심사가 진행됩니다 3년차는 갱신사후관리로 실시되며, 최초와 유사합니다
인증 범위
중분류 | 분류 | 활동의 예 | ||
---|---|---|---|---|
A | 축/수산업 | AI | 정육/우유/계란/꿀 생산을 위한 동물사육 | *정육, 계란, 우유 또는 꿀 등을 생산하기 위한 동물의 사육(생선과 해물 제외) *생육, 가둠, 포획 및 사냥(사냥시 도살) *관련 원물포장(farm packing) 및 저장 |
AII | 생선과 수산물의 양식 | *어육 생산을 위한 생선과 수산물 양식 *양식, 어망 설치 및 낚시(포획시 도살) *관련 원물포장(farm packing) 및 저장 |
||
B | 농업 | BI | 식물재배 (곡류와 두류 제외) |
*식물의 재배 또는 수확(곡류와 두류제외):원예 농산물 (과일, 채소, 향신료, 버섯 등) 식용 수생식물 *관련 원물포장(farm packing) 및 저장 |
BII | 곡물 및 두류 재배 | *식용 곡물과 두류의 재배 또는 수확 *관련 원물포장(farm packing) 및 저장 |
||
C | 식품 제조 | CI | 부패하기 쉬운 동물성 제품의 가공 | 생선, 수산물, 육류, 계란, 유제품 및 생선 가공품을 포함한 동물성 제품의 생산 |
CII | 부패하기 쉬운 식물성 제품의 가공 | 과일과 신선한 주스, 채소, 곡물, 견과류 및 두류를 포함한 식물성 제품의 생산 | ||
CIII | 부패하기 쉬운 동물성 제품과 식물성 제품의 가공 (혼합 식품) |
피자, 라자냐, 샌드위치, 만두, 즉석 식품을 포함하는 동물성과 식물성을 혼합한 식품의 생산 | ||
CIV | 상온에서 유통되는 제품의 가공 | 통조림, 비스켓, 스넥, 식용유, 식수, 음료, 파스타, 밀가루, 설탕, 식용소금 등을 포함한 상온에서 유통되는 모든 종류의 식품의 생산 | ||
D | 동물사료생산 | DI | 사료의 생산 | 육류를 생산하는 동물에게 사용할 목적으로 한가지 또는 여러 가지 식품원료를 섞어 만든 사료의 생산 |
DII | 애완동물용 사료의 생산 | 육류를 생산하지 않은 동물에게 사용할 목적으로 한가지 또는 여러 가지 식품원료를 섞어 만든 사료의 생산 | ||
E | 케이터링 | 지역이나 원격지에서 음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 ||
F | 유통 | FI | 소매/도매 | 완제품을 고객에게 공급 (소매점, 상점, 도매상) |
FII | 식품중개/거래 | 본인 또는 다른고객 위한 중개 및 거래 | ||
G | 운송 및 저장의 서비스제공 | GI | 부패성 식품과 사료를 위한 운송 및 보관 서비스 제공 |
*부패성 식품 및 사료의 보관과 운송을 위한 저장시설 및 유통차량 *복합포장(associated packaging) |
GII | 상온에서 유통되는 식품과 사료를 위한 운송 및 보관 서비스의 제공 |
*상온에서 유통되는 식품과 사료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한 저장시설 및 유통차량 *복합포장(associated packaging) |
||
H | 서비스 | 용수공급, 해충 방제, 세척 서비스, 폐기물 처리 등을 포함한 식품의 안전한 생산과 관련된 서비스의 공급 | ||
I | 식품 포장 및 포장재 생산 | 식품 포장재의 생산 | ||
J | 장비제조 | 식품 가공장비 및 자판기의 생산과 개발 | ||
K | (생)화학 제품의 생산 | *식품과 사료용 첨가제, 비타민, 미네랄. 배양액, 향료, 효소 및 가공 보조제 등의 생산 *살충제, 약품, 비료, 세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