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제품안전인증
제품안전에 대한 동일 목적이더라도 부처마다 인증마크가 달라 중복해서 인증받아야 하는 불편함, 시관과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 국가간 거래에 있어 상호 인증이 되지 않아 재 인증을 받아야 하는 등, 국제신뢰도 저하와 국부 유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3개의 법정강제인증마크를 국가통합인증마크 하나로 통합
KC인증의 해외통합사례
해외의 경우에 공산품 등에 대해 인증마크를 단일화해 사용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의 경우 1993년부터 회원국 간의 무역의 편리성, 소비자 보호 등을 목적으로 CE마크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일본은 2003년부터 전기제품 및 공산품 등에 대해 제품의 안전성을 인증하는 PS마크를, 중국의 경우 2002년부터 CCC마크를 사용하고 있다.
인증 혜택
-
- 중복된 인증마크 사용으로 인한 혼란을 해결해줍니다
- 인증마크의 혼란(55%), 대표마크 도입필요성(49%)
- One Stop 인증시스템 구축으로 중복인증에 따른 기업의 경제적 부담과 인증 소요기간 단축
- 인증비용66%절감, 소요기간은 27% 단축
- 규격제 개정 비용, 물품 및 용역 부문의 낭비 요인을 차단하여 예산이 절감됩니다
- 연간 279억원 예산 절감 예상
- 국제 표준화 기준에 맞추어 기술 무역장벽에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합니다
- 글로벌 브랜드 육성을 통해 인증관련 산업을 수익 창출 지식서비스 산업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인증분야
이름 | 분야 |
공산품 안전인증마크 | 유모차, 압력솥, 보행기 등 |
자율안전확인 마크 | 등산용로프, 건전지, 보안경 등 |
승강기 인증마크 | 조속기, 완충기, 비상정지장치 등 |
전기안전인증 마크 | 전선, 전원코드, 청소기, TV 등 |
고압가스용기(검마크) | 안전밸브, 압축기, 증발기 등 |
어린이 보호포장 | 방향제, 세정제, 광택제, 얼룩제거제 등 |
정보통신기기 인증 | 전화기, 모뎀, PC등 |
에너지소비효율등급 | 냉장고, 냉방기, 형광램프, 승용차등 |
품질검사필증 물마크 | 정수기 등 |
안전인증 | 프레스, 전단기 등 |
가스용품(검마크) | 가스레인지, 압력조정기, 연소기 등 |
계량기 검정마크 | 전기계량기, 체온계, 저울 등 |
소방용품 검정마크 | 소화기, 방염재 등 |